공지사항
2020.07.07 11:14
[배분사업] 일반공모지원사업 및 기획배분사업 지원활동 현황
추천 수 0 댓글 0
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는 지역에 필요한 작은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람들과 공익활동을 지원합니다. 지리산권의 보다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자 일반공모지원사업 및 기획배분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지리산권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움직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, 2018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의 지원활동 현황을 정리합니다. |
1. 전라남도 구례군
활동주체명 | 지원활동요약 | |
---|---|---|
1 | 구례살림연구회 | 우리 동네 예산 꼼꼼히 들여다보기 강좌 |
2 | 폐교를 깨우는 모임 | 폐교를 활용한 문화공간 요구 실태조사 |
3 | 담백 |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퍼머컬쳐 워크샵 |
4 | 북시터공부모임 책노리 |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북시터 교육 |
5 | 반달곰친구들 | 생태통로와 로드킬 현황을 통해 본 야생동물 길의 현실 조사 |
6 | 좋은도서관모임 | 지역의 좋은 도서관을 위한 기초 만들기 |
7 | 구례다움연구회 | 지역맞춤형 청년 이주 지원 프로그램 조사 |
8 | 구례아이교육공동체 | 놀이와 배움과 축제가 있는 구례아이교육프로젝트 |
9 | 구례특공대 | 본격 향토 청년 토크쇼 <구례잇톡> |
10 | 자연스레 - 자연농 | 기후위기 시대에 대처하는 자연농 실천 워크샵 |
11 | 조O라 | 구례 홍보영상 제작 프로젝트 <알아가는 잇츠 구례잇> |
12 | 안O자 | 섬지뜰 새 관찰 조사와 지도 만들기 |
2. 전라북도 남원시
활동주체명 | 지원활동요약 | |
---|---|---|
1 | 사단법인 시민공감 | 시민참여정치 워크샵 <남원정책학교> |
2 | 오랑오랑 | 문화생활 갈증 해소 프로젝트 <일상예술가 오랑깨!> |
3 | 학부모연합동아리 '따신밥' | 바른 먹거리 문화 교육 <건강한 밥상> |
4 | 남원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| 고전에서 찾는 몸과 마음의 인문학 강좌 |
5 | 사단법인 밝은마을 | 운봉 북모임 <북놀이 교육> |
6 | 자연놀이터 그래 | 모두를 위한 자연순환 빗물 활용 강좌 |
7 | 남원시민 공공디자인단 | 남원시 공공공간 디자인 교육 |
8 | 행복명상 | <마음여행> 명상 워크샵 |
9 | 함께걸어좋은길 | 협동조합과 노동조합에 대한 연구 |
10 | 김O연 | <지리산청년활력기금>의 확장성을 위한 과제 연구 |
11 | 정O영 | 남원1차 부영아파트 임차인 대표자회의 역량강화 |
12 | 서O희 | 남원 주거유형 조사 |
13 | 작은목수들 | 청년형 대안 생태주택을 위한 공부 '작은집 작당' |
14 | 두목회 | 책과 함께하는 인문학 교양 강좌 |
15 | 문화기획달 | 삶에 쉼표가 필요한 이들을 위한 일상치유 프로젝트 |
16 | 도공디공회 | 남원 구도심 빈집조사 |
17 | 산내놀이단 | 산내놀이단의 새로운 출발을 위한 기획 강좌 |
18 | 해오라기 바윗골 마을모임 | 마음을 치유하는 음악심리치료 |
19 | 김노정최 |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예체능 진로 탐방 |
20 | 응가파워!!!!!!!! | 6인 6색 친구들과 여행하기 |
21 | 남원청년정책네트워크 | 남원청년, 시민으로 우뚝 서기 |
22 | 작은자유 | 비전화기술 연구회 |
23 | 가온누리 | 지리산 청소년, 스마트폰으로 마을을 담다 |
24 | 놀이와 놀이터 남원시민모임 | 사람을 지켜주는 숲, 이젠 우리가 숲을 지키자 |
25 | 성폭력 근절을 위한 지리산 여성회의 | 마을에서 성인지 감수성 키우기 |
26 | 산내자전거작업장 | 산내마을에서 자전거로 살아보는 100일 실험 프로젝트 |
27 | 오순도순 사회적협동조합 | 장애인 자녀 가정의 부모 성교육 |
28 | 자연놀이터 그래 | 우리동네 하천조사를 위한 교육 <물속이 궁금해서> |
29 | 한생명 | 함께 실천하는 제로웨이스트 교육 |
30 | 사단법인 시민공감 | 거버넌스 연구회 |
31 | 조O은 | 우리 동네 수공예 작업자들과의 만남 <듣는 자리> |
3. 경상남도 산청군
활동주체명 | 지원활동요약 | |
---|---|---|
1 | 간디어린이학교 | 산청지역 어린이들과 함께 하는 2주 방학학교 |
2 | 목화장터나눔회 | 열린 문화 공연과 생활 인문학 강좌 |
3 | 산청군농민회 | 이웃과 소통하는 주제별 소모임 활성화 사업 |
4 | 산청약초통밀빵학교 | 사랑의 빵 재능나눔 활동 |
5 | 하마 | 청소년 공동체와 자치 공간 <명왕성> 구성 프로젝트 |
6 | 숲속새마을작은도서관 | 주민간 소통을 위한 <산청 새로 삶 디자인> 연속 강좌 |
7 | 어린이도서연구회 산청지부 | 어른들을 위한 <좋은 우리 어린이책> 교육 |
8 | 김O영 | 우리동네 놀이터 알아보기 |
9 | 김O범 | 산청지역 청소년 인식 및 생활 실태조사 |
10 | 방정환하늘학교 교육연구회 | 팝업놀이터 <말랑말랑 지리산> |
11 | 하마 | 청소년 동아리 활성화 및 공동체 교류 사업 |
12 | 목화장터나눔회 | 지속가능발전을 바라고 준비하는 주민과 함께하는 강좌 |
13 | 산청군농민회 | 여성농민 임파워링 네트워크 워크샵 |
14 | 삼장,시천 학부모 모임 | 공감 성교육 |
15 | 어린이도서연구회 산청지부 | 옛이야기와의 만남 |
16 | 숲속새마을작은도서관 | 삼장·시천 거주 여성의 문화활동 실태조사 |
17 | 목화장터나눔회 | 지역 예술가와 함께하는 문화장터 만들기 |
18 | 산청군농민회 | 이웃과 소통하는 주제별 소모임 활성화 사업 |
19 | 숲속새마을작은도서관 | 지역 여성을 위한 시나브로 이모작 강좌 |
20 | 황O홍 | 원주민과 귀농·귀촌인의 소통을 위한 갈등의 원인과 해소방안 조사 |
21 | 모하노 토론 동아리 | 청소년 끝장토론 캠프 |
22 | 생태보전 낚시 동아리 | 낚시를 통한 생태 보전 활동과 지역 생태환경 돌보기 |
23 | 머꼬보자 | 우리 동네와 지역 맛집 탐방 |
24 | 간식여행 | 친구들과 함께 가는 1박2일 부산 간식 여행 |
25 | 전투 | 친구들과 추억과 여행 경험 쌓기 <전주투어> |
26 | 있다 | 사람 있다, 배움 있다, 모임 있다, 여기 있다 『산청에도, 있다』 |
27 | 하마 | 명왕성 청소년 꿀알바 프로젝트 |
28 | 모하노 | 함께하자, 친 청소년 공간 <모하노> 프로젝트 |
29 | 우리多가치 | 청년 발달장애인 요리 자립 프로젝트 |
30 | 중국어동아리 이치 | 행복한 엄마, 행복한 아이가 함께하는 <엄마아이학교> |
31 | 권O은 | 우리동네 숨은 이야기를 담은 관광지도 만들기 |
32 | 산청군농민회 | 산청군 친환경 생태농가 실태조사 |
4. 경상남도 하동군
활동주체명 | 지원활동요약 | |
---|---|---|
1 | 하동생태해설사회 | 생태해설사 역량강화를 위한 놀이 교육 |
2 | 김O민 | 섬진강과 보성강의 수생식물 조사 |
3 | 최O주 | 걸음으로 잇는 악양 생태길 지도 그리기 |
4 | 하동생태해설사회 | 생태해설 프로그램 개발 및 기획 강좌 |
5 | 아이(i)날다 | 놀이문화의 발견 <어디까지 알고 있니? 보드게임> |
6 | 악양부모모임 | 아이와 어른이 함께하는 숲 밧줄놀이 |
7 | 하동생태해설사회 | 주제가 있는 서로배움 강의 |
8 | 하이-쏘! | 사회적 약자를 위한 청소년 단체 설립 준비와 캠페인 활동 |
9 | 우악청소년's | 하동 청소년 영상제작단 |
10 | 오로지 자연의 힘으로 "누리농장" | 친환경 자연재배 공동체 농장 만들기 |
5. 경상남도 함양군
활동주체명 | 지원활동요약 | |
---|---|---|
1 | 나무아래계절 | 아이와 함께하는 사계절, 나무같은 부모 되기 |
2 | 봄 (BOM/Big One Mind) | 공감과 소통을 위한 마음 수업 |
3 | 안의사랑교육공동체 나란히 | 부모 교육 <함께 키우는 마을 공동체> |
4 | 함양2030책모임 | 청년문화네트워크 <책과 놀장> |
5 | 김O경 | 안의초등학교와 어린이집 학생들의 방과후 실태조사 |
6 | 풍년새우 논조사 모임 | 사계절 논생물 관찰 기록 - 가을&겨울 편 |
7 | 함양토종씨앗모임 | 우리동네 토종씨앗을 찾아서 |
8 | 안의사랑교육공동체 나란히 | 초록꿈틀 자연학교 |
9 | 풍년새우 논조사 모임 | 사계절 논생물 관찰 기록 - 봄&여름 편 |
10 | 함양시민연대 | 함양군 의정감시단 설립 |
11 | 함양 마을교육공동체 준비모임 |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열린 강좌와 대화 |
12 | 문화단체 함양. 문화. 사람 | 시쓰기와 읽기를 통한 마을공동체 정체성 찾기 |
13 | 함양토종씨앗모임 | 우리동네 토종씨앗으로 농사짓기 |
14 | 도담도담 | 부산으로 떠나는 문화와 역사 탐방 |
15 | 물음느낌표 | 청소년 까페지기와 함께 만드는 <놀-카페 빈둥> |
16 | 수아랑 | <소통하는 그림책> 강의와 낭독의 시간 |